[스크랩] 라인에 관해서...
*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nylon mono filament)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일반적인 라인으로 낚시를 처음하는 사람에게 적합하다.
연신율이 높아1m 당 10cm가량 늘어나며 먼 거리에서 훅셋의 실패를 초래할수 있다.
하지만 유연성이 좋아 탑워트 루어에 적합하며 캐스팅이 용이하다. 또한 가격이 저렴한 것이 장점이다.
* 불소 카본(fluro carbon)
투명성이 높고 자외선에 강하며 쓸림에도 강하여 모노 필라멘트 라인보다 약 1.5배
이상 강하다. 탄성이 높아 먼거리의 훅셋시 실패할 확률이 낮으며 유연성이 없어 루어의 자연스러운 액션 연출에는 다소 불리하다
* 폴리에틸렌(p.e)
강도가 강한 폴리에틸렌사를 여러가닥 꼬아 만든 합사 라인으로 탄성과 강도가
일반 나일론사의 약3배 가?높으며 같은 규격이라도 일반 라인보다 굵기를 낮추어
쓸수있다는 장점이있다. 늘어나지 않아 일질 감도와 훅 셋에 매우 용이 하지만 불투명하기 때문에 쉽게 노출되며 캐스팅시 가이드와의 마찰저항 때문에
비거리가 줄어든다. 또한 가격이 비싼게 흠이다.
* 불소 나일론(fluro nylon)
나일론과 불소 카본을 혼합하여 각각의 장점을 고루 갖추었다고 할수 있다.
입질 파악이 쉬우며 먼거리 훅셋에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수분의 흡수가 적으며
쓸림에도 강하다.
라인의 종류와 특징
1) 나일론은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라인으로 자외선에 약해 단시일 내에 변질된다.
하지만 유연성이 좋아 캐스팅이 편하고 가격이 저렴하다.
2) 불소 카본라인은 굴절률이 물과 비슷해 투명성이 높으며, 자외선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
또한 수분 흡수율이 낮고 쓸림에도 강해서 나인론라인보다 1.5배 이상 강하다.
단, 열에 약해서 매듭부분이 약하며 유연성이 적어 스피닝 채비에 부적합하다.
3) 폴리에틸렌 브레이드 라인(합사)은 직경 대비강도가 일반 나일론의 3배이상의 강도를 기지고 있다.
힘의 전달이 빨라 입질 감도가 뚜렷하며 즉각적인 훅세팅이 가능하다.
단, 색상이 불투명해서 눈에 쉽게 띄고 가이드와의 마찰이 생겨서 캐스팅 거리가 줄어든다.
4) 서스펜드 라인
라인의 선택
1) 나일론 라인은 비중이 1.14로 물보다 약간 무거워 물에 뜨다가 매우 천천히 가라앉는다.
탑워터 루어를 사용할 때 효과적이다.
2) 폴리에틸렌 브레이드 라인(합사)도 비중이 0.97로 물보다 가벼워 물에 뜬다.
따라서 깊은 수심에서 고감도의 기법이 요구되는 딥피싱에서 완전히 가라앉혀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3) 서스펜드 라인은 수면 바로 아래에 떠 있게 되는데 상층과 중층부 이상 수심을 공략하기에 유리하다.
특히 서스펜드 미노우에 효과적이다.
4) 카본 라인은 잘 가라앉기 때문에 수면 아래 바닥 공략시 유리하다.
깊은 수심이나 예민한 입질감지에 효과적이다.
☞ 낚시 줄
낚시줄을 잘라 그 잘린 면을 확대해서 보면 한 줄로 된 모노필라멘트(Nylon Mono Filament)로 된 것과 폴리에틸렌사를 여러 겹으로 꼬아서 만든 PE합사로 나뉜다. 모노필라멘트사가 주종을 이루고있지만 최근에는 합사의 사용량도 빠르게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대어용으로 오히려 PE줄이 선호되기도 한다.
현재 상용화 되어있는 줄은 듀퐁사가 1927년 개발한 나일론 모노 필라멘트 줄과 1975년에 고분자 폴리 아라미드를 개발하여 케블라(Kevlar)라는 상표로 내놓은 것이 대표적이다.
낚시줄은 사용위치에 따라 릴에서부터 나오는 줄을 원줄 그리고 원줄에서 매듭을 이어 바늘끝에 까지 채비로 연결하여 쓰는 줄을 목줄이라고 부른다. 목줄은 대개 비중이 무거워 빨리 가라 앉으면서 부드럽고 같은 강도 일지라도 가늘고, 한계강도 범위 안에서는 잘 견디지만 한계강도 이상에서는 늘어나지 않고 잘 끊어져야 좋다고 평가된다. 이유는 한계를 넘어서는 부하(스트레스)가 원줄이나 낚시대에 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 이다.
강도가 강한 대에 약한 줄을 사용할 때 줄이 한계에 이르면 끊어지지만, 강도가 약한 대에 강한 줄을 함께 쓴다면 줄이 끊어지기 전에 대가 부러지는 경우도 있다. 그런 만큼 대의 손상을 줄이려면 대의 강도보다 한 단계 낮은 줄을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전에서는 두꺼운 줄이 많이 쓰인다. 특히 수초나 장애물 지대를 공략할 때는 15파운드 이상이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프로 배스 낚시인들은 모노필라멘트가 아닌 데이크론사나 Braided 줄 같은 합사로 된 강한 줄을 이용하여 배스 루어 낚시를 즐긴다. 낚싯줄은 기본적으로 일회용 소모품으로 인식하는 것이 좋다.
나일론 모노필라멘트로 된 나일론 줄은 값이 싸서 많이 쓰고 있지만, 작은 흠집이 있어도 잘 터지고 많이 늘어나기 때문에 장애물지대나 큰 놈이 걸렸을 때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나일론에 불소카본을 혼합하여 만든 카본 줄은 가격은 비싸지만 나일론 줄보다 질기고 상처에 강하며 비신 축성이기 때문에 더 가는 줄을 쓸 수 있다. 그러나 카본 줄은 같은 굵기의 나일론 줄 보다 뻣뻣하기 때문에 오히려 불편할 수 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배스용으로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줄은 스피닝 릴의 경우 4 - 10Lbs(파운드), 베이트 릴의 경우 6 - 14Lbs 정도이다.
줄의 테스트 파운드를 적절하게 대와 결합시켜 보면 ⓐ 미디움 헤비 대는 14 ~ 20 Lbs, ⓑ 미디움 대는 12 ~ 14 Lbs, ⓒ 미디움 라이트 대는 10Lbs정도, ⓓ 라이트 대는 8 Lbs 줄이 걸 맞는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탑 워터 루어를 쓰는 경우는 보다 부드러운 줄이 쓰여지며, 중 상급자들의 경우 입질이 까다로울 때는 언더리그 채비와 곁들여 3 ~ 4Lbs 줄 까지도 쓴다. 드래그 조절, 낚싯대의 유연성이 조화가 되면 가는 줄로도 얼마든지 큰 고지를 낚을 수 있기 때문이다.
소재에 따라 그 인장강도와 두께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요즈음,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인장 강도인 테스트 파운드나 테스트 킬로그램(Test Lbs/ Test Kg)을 쓰고 있지만,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낚싯줄의 강도가 아니라 두께를 중심으로 표현(1호는 0.00375g, 10호는 0.375g에 해당한다)하는 호로서 제품표기를 하고 있는데 매우 비합리적인 것으로 보인다. 중국제와 같은 저가품은 같은 두께라도 인장강도가 떨어지고, 최근에 개발된 고급제품은 보다 가늘더라도 더 강한 인장강도를 갖게마련이다. 이 호(號)라는 것은 1945년 일본의 한 회사에서 자체 분류용으로 사용하기 시작하였었던 것이다.
참고로 가장 넓게 통용되고 있는 나일론모노필라멘트 줄의 호와 두께를 적어보면 아래와 같다. 물론 이것은 각 제조회사나 지역 그리고 낚시종목에 따라 틀린다.
호 |
0.6 |
0.8 |
0.9 |
1 |
1.2 |
1.5 |
2 |
2.5 |
3 |
3.5 |
4 |
파운드 |
3 |
4 |
5 |
6 |
7 |
8 |
10 |
12 |
14 |
15 |
16 |
mm |
0.128 |
0.148 |
0.157 |
0.165 |
0.185 |
0.205 |
0.235 |
0.260 |
0.285 |
0.310 |
0.330 |
그리고 줄의 색깔은 맑은 날과 흐린 날에도 식별이 용이한 것이 좋다. 그러나 색깔이 너무 진하거나 물색 또는 주변의 색깔과 다르면 면 배스의 눈에 뜨이기 때문에 위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낚시줄 단위 환산 평균 비견표 (홋수) |
홋 수 |
굵 기(M/M) |
파운드(L/B) |
인장강도(KG) |
|
0.5 |
0.116 |
2 |
0.91 |
|
0.8 |
0.148 |
3 |
1.36 |
|
1.0 |
0.165 |
4 |
1.68 |
|
1.2 |
0.185 |
5 |
2.27 |
|
1.5 |
0.205 |
6 |
2.55 |
|
2.0 |
0.234 |
7 |
3.20 |
|
2.5 |
0.260 |
9 |
4.20 |
|
3.0 |
0.285 |
10 |
4.50 |
|
3.5 |
0.310 |
12 |
5.50 |
|
4.0 |
0.330 |
15 |
6.46 |
|
5.0 |
0.370 |
18 |
8.00 |
낚시줄 단위 환산 평균 비견표 (길이) |
|
센티미터 |
미터 |
인치 |
피트 |
야드 |
1센티 |
1 |
0.01 |
0.3937 |
0.0328 |
0.0109 |
1미터 |
100 |
1 |
39.37 |
3.2808 |
1.0936 |
1인치 |
2.54 |
0.0254 |
1 |
0.0833 |
0.0278 |
1피트 |
30.48 |
0.3048 |
12 |
1 |
0.3333 |
1야드 |
91.438 |
0.9144 |
36 |
3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