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배스의 감각과 공격성 및 습성
|
배스의 청각 | |
|
배스의 후각 | |
|
배스의 미각,촉각 및 피부감각 |
|
배스가 루어를 공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 |
(1) 먹기위해서(feeding) |
배스는 살아 있거나 움직이는 대상을 먹이감으로 인식하기 때문에 공격합니다. | |
(2) 궁금해서(curiosity) |
루어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따라오는 경우가 간혹 있읍니다.이 때 배스는 루어가 실제 먹이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호기심을 느꼈기 때문입니다. | |
(3) 방어(protective instinct) |
배스는 산란 후 수컷이 산란장을 보호하는 특성이 있읍니다.산란장 주위에 루어를 투입하면 루어를 공격합니다.이때는 적으로 인식하는 대상을 입으로 쪼거나 물고 산란장 밖으로 뱉어 버리는 식의 행동입니다. | |
(4)반사동작(reaction bite) |
식욕과 같은 생리적인 욕구를 배제한 공격본능입니다. 신경계통의 조건 반사의 일종으로 배스의 입질은 규칙적인 움직임이 계속되는 루어보다는 루어가 멈추거나 다시 움직이기 시작할때 집중됩니다.이러한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 |
(5)그밖의 이유 |
화가 나서,경쟁상대로서,살생 본능,덩달아,공포에 대한 역습 등. |
배스의 어떻한 포식 습성(feeding habits)을 가지고 있을까요? | |
배스는 먹이감을 아가미와 입을 크게 벌려 입안에 역압(negative pressure)을 만들어 흡입력 (suction power)으로 빨아들입니다. 배스는 먹이를 삼키기 전에 이물감이 느껴지면 곧바로 뱉어 버리는데 이는 매우 | |
(1)살금살금 접근하기(stalking) |
먹이를 발견하면 살그머니 접근한 다음 갑자기 공격합니다. |
(2) 돌진하기(running) |
고활성시의 배스는 표적인 먹이감에 대해 집요합니다.여러 배스가 동시에 |
(3) 어슬렁거리기(habituation) |
먹이 근처에서 관심이 없는 듯 배회하다가 부주위한 틈을 타 공격합니다. |
(4) 매복(ambush) |
비활성시의 배스나 경계심이 대단히 많은 대물 배스는 장매물 속에 은신하다가 지나가는 먹이를 공격합니다. |
빅배스를 잡는법 10계명
1.) 큰고기는 사는곳이 따로 있다.
어떤 저수지는 다른 곳보다 더 자주 큰 배스를 배출해낸다.
이런 것들은 피싱프레셔,먹이환경,유입시기,호수의 나이, 번식정도,물의 상태 , 장애물의 구조등이 복합적으로 좌우됩니다..
2.) 빅배스의 생활상을 이해하라
당신이 우연히 큰 배스를 잡았을수도 있지만 항상 큰배스를 잡을수있지는 않습니다. 빅배스는 행운이지요. 빅백스는 잔챙이와 노는 방법이 다릅니다.
큰놈이 노는 곳에서는 큰 미끼를 사용하자. 내가(토미마틴) 좋아하는 루어는 스캡?仄六? 줌사의 포크이미테이션 트레일러조합과 줌사의 10인치 웜의 텍사스리그채비이다. 둘다 위드리스기능을 가지고 있어 아주 험한 장애물에서도 걸림이 적다. 다른 것으로는 3/4온스 립리스크랭크베이트와 스탠리스피너베이트,빅사이즈의 톱워터플러그다.
4.) 천천히 끌어라.
큰 암놈배스는 무지 게으르다. 특히 겨울과 초봄에 더욱 그러한데 뱃속에 알을 품고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빠른 미끼보다는 느린 미끼를 선호한다.
5.) 헤비태클채비를 사용하자.
두자리수 무게의 배스를 잡는데 라이트테클을 사용하는 것은 몽둥이로 곰잡는 것과 같다.
10중팔구는 실패할 것이다. 미디움헤비나 헤비로드를 선택하자. 특히 심한 장애물에서는 핸들이 긴 로드가 균형에 도움을 준다.
6.) 매듭을 중시하자.
라인은 직접 배스와 접촉한다. 약하거나 싸구려라인은 험한 장애물에서 배스를 낙아내기 힘들다. 17에서 30파운드의 마찰저항이 크고 매듭결절강도가 큰 라인을 사용하자.
특히 브레이드라인은 도움을 준다.좋아하는 라인은 버클리사의 트리렌 XT와 Vanish라인이다.
7.) 계절에 맞는 채비를 하자.
큰배스는 년간 어느 계절이나 잡을수 있다. 하지만 12월부터 3월은 만나기 힘들다.
이시기 암놈들중 대형급들은 모두 10% 이상 체중을 불린다.
8.) 큰놈을 잡는 시간.
월력은 특히 배스의 피딩타임을 잘 표시해준다. 어떤이는 관심을 안 기울이지만 다른이는 목숨을 건다. 최선의 충고는 일찍 도착하고 늦게까지 머물러라.
그럼 더 많은 배스를 만날 수 있을것이다.
9.) 오로지 큰놈만 생각해라.
큰놈을 잡고 싶거든 큰놈만 생각해라. 물의 상황에 맞는 채비를 가지고 한번 입질을 받는다는 생각을 하라.
10.) 행운에 기대하자.
행운을 간과하지 말자.
안잡힌다고 물속에 빠져 죽을려고 애쓰지는 말자.
배스의 생태 및 습성
배스는 바닥먹이 취이가 용이하도록 잘 발달된 아래턱 및 속도변환이 신속히 이루어지는
타원형의 몸통(선비쉬과의 특징)과 좁은곳을 자유롭게 오래 머무를 수 있는 넓은
지느러미를 가졌다.
이를 이용한 먹이사냥의 순간속도는 시속 약 20 ~ 30km 정도이며 배스가 느낄 수
있는 감각기관은 시각,청각,촉각,미각 등으로 우선 시각을 살펴보면 맑고 투명한
물속에서의 가시거리가 약 10m이상을 볼수도 있으나 대부분 배스가 서식하는 물에는
3m정도 한계로 본다.
눈의 구조는 축과 원추로 구성된다. 축과 원추를 조절하여 빛의 밝기변화에 대처 하며
축은 흑백의 농도를 원추는 색상을 구분하는데 빛의 양에 따라 흑.백으로만 구별되어
진다.
배스는 아래쪽과 뒤쪽을 제외한 모든 방향을 볼수있으며 수면위의 물체도 볼수있음으로
주위 경관과 유사한 중간색옷이 낚시에 효과적일 수 있다.
배스는 사람의 눈 보다 많은 빛을 흡수함으로 어두운 곳에서도 먹이를 찾는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밤에도 먹이활동을 하게되는데 이때 배스는 감각기관을 최대한 이용하게된다.
청각은 내이가 20~1000Hz ,옆줄이 4~200Hz로서 먹이사냥에 있어
서 상당히 중요한
기관이다.
배스는 청각이 발달되어 있음으로 낚시보트 바닥에 카펫으로 덮어 소음을 줄이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후각은 잘 발달되지 않았으며 미각 또한 몇 개의 세포만 존재함
으로 대단히 중요하지는
않다고 보여지나 저수온으로 인하여 신진대사가 떨어진 배스를 낚으려할때 방향제의
사용이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다(방향제는 냄새보다 맛을 중요시하여 설계)
촉각은 먹이를 삼킬것인가 뱉을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그러므로 딱딱한 루어 보다 부드러운 루어를 더 오래 물고 있게 된다.
라지마우스 배스는 10도이하의 저수온에서 거의 먹지 않으려하는데 수온이 상승하게되면
신진대사가 빨라지면서 먹이 섭취가 증가하게 된다.
먹이섭취가 가장 증가하는 수온은 약20도에서 25도 정도일때다.
배스가 인공미끼에 스트라익 되는 이유는 아직 확실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며
과학자들은 배고픔을 가장 큰 이유로 치지만 반사작용, 공격성, 호기심, 경쟁심,
등도 이유가 된다고 믿고 있다.
배스는 암컷이 성장이 빠르며 수명또한 길다고 한다.
암컷 배스가 약15년 가량의 수명을 지니는 반면 수컷은 10년정도의 수명을 가진다.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암컷배스 30%가 5년이상의 나이인 반면 수컷 중 5년 이상되는것은
9%에 불과하다고 하는데 이것은 앞서 말씀드린 논리를 임증하는 예일수 있다.
배스의 산란은 체중 1파운드당 2000개 내지는 7000개의 알을 낳는데 한 장소에서
한꺼번에 산란하거나 여러 위치에 분산하여 낳기도 한다.
배스의 알은 22도에서 2일간 부화되나 19도정도에 회복하며 수컷은 알 자리 주위를
보호하는데 그동안에는 거의 먹이활동을 하지 않으나 주변 침입자는 일단 공격하되 알 자
리 밖으로 뱉어 버린다.
수온이 갑자기 10도이하로 떨어지면 13일동안 태어나지 못하기도 한다.
때로는 매서운 한랭전선이 수컷으로 하여금 알 자리를 버리도록 만들며 이런 경우
천적에 의하여 알과유어는 소실된다.
일반적으로 한 보금자리에서 2,000개 내지는 12,000개의 알이 부화되고 이들 중
천적 대비에 따라 약 몇 십마리 정도가 10인치 크기로 자란다.
배스의 산란터는 자보나 그루터기,물에감긴 통나무,바위등, 큰 나무들의 밑 바닥과
위쪽의 수평 나뭇가지에서 산란하려는 습성이 강하다.
암컷이 알을 낳으면 수컷이 정액을 덮어 수정하게 되는데 수컷이 알을 보호하며 유어가
25cm정도 성장한 후에야 비로서 떠나는 보호본능이 강한 어종이다.
배스는 얼마나 오래 루어를 기억할까요?
연구 결과는 다소 긴 시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한 연구 조사에서 5분간의 실험 기간 동안 6마리로 구성된 배스 몇몇의 배스 그룹들이
(인공)미노우를 자유롭게 공격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해 주었습니다.
첫 번째 미노우에 대한 노출에서 대부부분의 루어에 대한 공격이(평균적으로 테스트당 약 24회)
초기의 1분에서 3분 사이에 이루어졌고, 미노우는 그 때까지 배스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였습니다.
이 실험의 끝무렵이 되서야 배스들은 그것이 먹이감의 대상이 아니라는 것을 알아차렸기 때문에
미노우를 무시하게 되었습니다.
그 다음에는 루어에 노출시키지 않는 시간에 차이를 두기 위해서,
배스를 두 집단으로 나누어 분리하여 모아두었습니다.
2주후, 한 집단의 배스들을 같은 미노우에 5분동안 다시 노출시켰습니다.
이 그룹의 루어에 대한 2번째 반응은 평균적으로 처음의 것보다 단지 1/10 밖에 되지 않았고,
2주 동안 배스가 이 베이트에 대한 강렬한 나쁜 기억을 간직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결과였습니다.
더 오랜 기간동안 미노우에 노출시키지 않았던 배스들도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습니다.
3개월 후 2번째 그룹도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하였지만, 첫 번째의 결과보다 상당히 낮은 수준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결과는 어떤 상황에 있어서는
배스는 최소 2주에서 3달간 그리고 아마도 훨씬, 훨씬 오랜 기간 루어를 기억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누가 압니까?
만약 경험이 충분히 나쁜 것이었다면, 배스들은 절대로 그 루어를 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출처 : Knowing bass-The scientific approach to catching more fish; Keith A. Jones, P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