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 효소(AST, ALT) 수치가 높은 사람은 뇌출혈 위험이 크다' 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연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김현창, 서 일 교수팀은 지난 90년 35~59세 사이의 의료보험 피보험자 10만8천464명을 선정, 건강검진을 통해 혈액 내 간 효소(AST, ALT) 농도를 측정한 뒤 2002년까지 뇌졸중 발병 여부를 추적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서 발간되는 국제학술지 뇌졸중(stroke)에도 실렸다.
AST, ALT는 간세포 내에 있는 효소인데 간세포가 망가지면 혈액 속으로 흘러나온다. 따라서 혈액 속에 이 두 효소의 수치가 높을수록 간세포가 많이 손상됐음을 뜻한다. 흔히 ‘간수치’라고 불리는 것이 바로 이 간 효소검사를 말한다. 수치는 35IU/L 미만이 안전하다.
논문에 따르면 AST 수치가 35~69인 남성은 정상 남성에 비해 뇌출혈 위험이 1.49배 높았으며 70 이상인 남성은 4.21배로 높아졌다.
ALT 수치도 35~69인 남성은 정상 남성에 비해 뇌출혈 위험이 1.34배, 70 이상은 2.89배나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이 조사에서 조사 대상자들의 뇌졸중 발생과 관련이 큰 나이, 고혈압,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음주 및 흡연 등의 요인은 건강검진 자료를 이용해 배제했다고 설명했다.
김현창 교수는 “우리나라 성인 남성의 경우 20% 가량이 AST, ALT 농도가 35 이상이기 때문에 이 연구결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면서 “AST, ALT 수치가 올라가는 주요 원인은 바이러스성 간염과 알코올성 간 질환이지만 최근에는 비만에 의한 지방간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AST, ALT 수치가 높은 사람이 왜 뇌출혈 위험이 커지는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치 않다”면서 “간이 혈액 응고와 관련된 여러 가지 물질을 합성하기 때문에 간 기능이 떨어진 사람들이 출혈 위험이 높아질 수 있지만 정확한 메커니즘은 더 연구해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PS: 2005년도의 연구결과이지만,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일부편집)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초ㆍ주당에겐 매운게 약이네~ (0) | 2006.11.23 |
---|---|
잘 먹지 않는데도 살찐다? 혹시, 갑상샘… (0) | 2006.11.23 |
긁어도… 긁어도 끝나지 않는 고통 (0) | 2006.11.23 |
“춥다고 움츠리지 말고 적극적으로 활동해야” (0) | 2006.11.21 |
왜이리 춥고 피곤하지..혹시 `갑상선기능저하증'? (0) | 2006.11.21 |